인프라 (9) 썸네일형 리스트형 공부링크 process thread pid 관련 pid_max, thread-max, ulimit -u 차이 설명 https://itectec.com/unixlinux/linux-understanding-the-differences-between-pid_max-ulimit-u-and-thread_max/ pid_max값을 초과하면 발생하는 문제점 PIDs are generated sequentially and before being assigned to a process a check is made to ensure a process doesn't currently have a particular PID. When pid_max is reached the counter simply wraps back to the beginning. If there a.. DNS에 대하여 DNS는 domain name server의 약자로 한마디로 서비스의 이름을 알려주는 서버이다. /etc/hosts에 ip와 domain을 적어두면 각각의 노드들 마다 업데이트를 해줘야하는 번거로움이있다. 이를 위해 dns를 두고 서버들이 dns에 도메인을 쿼리하면 IP를 알려준다. DNS에서 쿼리에 대한 응답을 주기 위하여 레코드 값을 등록해야 하는데 이때 A 레코드는 ipv4에 대한 레코드 AAAA 레코드는 ipv6에 대한 레코드를 의미한다. glibc library를 쓰는 서비스의 경우 gslb 하단 도메인들에 대한 쿼리 [OS] 리눅스 기본 명령어 정리 ls [리스트] : 현재 디렉터리에 있는 파일과 그 하위 디렉터리의 이름 나열 명령어 설명 ls -a list all 리스트 전체를 보여준다 ls -l list long 퍼미션/ 포함된 파일 수/ 사용자/ 그룹/ 파일 크기/ 최종수정일/ 파일 이름 ls -h list human 사람이 보기 좋게 K, M, G 단위를 이용하여 파일 크기 표현 ls -R list recursive 하위 디렉토리의 파일까지 모두 출력 ls -S list size 파일 사이즈 크기 순으로 출력 pwd : 현재 작업 디렉터리를 알려준다. cd : 디렉터리 변경(이동) cat : 파일 내용 터미널에 출력 (수정 불가) | concatenate 약자 명령어 설명 cat file 파일 내용 출력 cat file1 file2 file3.. [OS] 프로세스와 쓰레드의 차이 프로세스(process)와 스레드(thread)의 차이가 무엇일까? 이 질문에 대답을 하기 위해선 프로세스가 무엇인지, 스레드가 무엇인지 알아야한다. 그럼, 프로세스는 무엇일까 프로그램과 어떻게 다른까? 결론부터 말을 하자면 프로세스는 실행 중인 프로그램이다. 프로그램은 명령어(코드)와 정적인 데이터의 집합(묶음)이다.하드디스크 혹은 SSD에 존재하며 아직 실행되길 기다리고 있는 파일이다. 프로그램이 메모리에 적재되면 실행 가능한 상태가 되고 이를 프로세스라고 부른다. 프로세스는 운영체제로부터 필요한 자원을 할당 받는다. 그럼 스레드는 무엇일까. 스레드는 할당받은 자원을 이용하는 실행 단위이다. 정리하자면 Process : 작업의 단위 (자원을 할당받는) Thread : 실행의 단위 (할당받은 자원을 이.. [네트워크] 네트워크 가상화란 가상화란원래의 환경에서 특정 형태의 기술(물리적)을 추출하여 이를 가상 형태로 제공하는 것.이 가상 형태는 물리 형태일때와 동일한 기술을 제공하며, 제어와 유연성이 향상되게 됩니다. 네트워크 가상화 네트워크 가상화는 터널이다. 네트워크에 있는 두 도메인을 물리적으로 연결하지 않고 기존 네트워크를 통과하는 터널을 만들어 두 도메 http://devkyanon.blogspot.kr/2014/01/sdn_11.html http://www.itworld.co.kr/news/86025 https://developer.ibm.com/kr/cloud/bluemix/cf-applications/2017/04/17/develop-cloud-app-step2/ https://m.blog.naver.com/PostView... [네트워크] 패킷분석 [네트워크] PDU, SDU, PCI 란 PDU, SDU, PCI (http://www.ktword.co.kr/abbr_view.php?m_temp1=310) PDU = Protocol Data Unit- 2계층 (링크) : 프레임- 3계층 (네트워크) : 패킷- 4계층 (전송) : 세그먼트SDU = Service Data Unit (payload)PCI = Protocol Control Unit (header) 사진 출처 : http://www.ktword.co.kr/abbr_view.php?m_temp1=310 [운영체제] 공부한 블로그 링크 정리 전처리기 (http://baeseonha.tistory.com/m/2) 컴파일러 어셈블러 링커 인터프리터 (http://lastmorning.tistory.com) 시간복잡도 (http://gompangs.tistory.com/31) 부동소수점(http://sexy.pe.kr/tc/293) 교착상태, 세마포어(http://developersion.tistory.com/21)세마포어 vs 뮤텍스(http://jwprogramming.tistory.com/13) 시스템프로그래밍(http://writingdeveloper.tistory.com) 연산자 (http://schpritz1.tistory.com/167) 이전 1 2 다음 목록 더보기